Bastion에 kubectl 설치
처음에 관리자로 들어간 뒤 sudo -su ec2-user로 들어가서 작업을 진행하려고 하니까 계속 허가 거부 즉, Permission denied가 떴다.... 알고보니 admin 폴더에서 작업을 하려고 하니 문제가 발생했던 것이다.. 그래서 바로 폴더를 ec2-user로 바꿔주니 이상없이 진행되었다.
EKS 버전과 동일한 버전의 Kubectl을 다운로드 하였고, 실행권한을 추가해주었다. 그 후에 PATH가 설정된 디렉토리로 옮겨줬다. 그러나 결과는 kubectl : command not found 가 뜨는 것이었다. 그래서 인터넷에 이것저것 찾아본 결과 나의 PATH는 /usr/bin/ 이었다..
결과는 잘 나왔다. 내 경로를 모르겠다면, echo $PATH 명령어를 쳐보면 경로가 어디로 설정되어 있는 지 확인할 수 있다. 내 경로는 /usr/bin 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aws-cli를 분명 설치해줬음에도 불구하고, aws를 찾을 수 없음을 알게 되었다.. 결국 이 모든 것은 $PATH의 문제였다.. 그래서 결국 vim ~/.bashrc 명령어를 통해서 경로를 아예 /usr/local/bin 으로 변경해주었다..
1. vim ~/.bashrc 를 통해 위와 같이 PATH를 설정해준다.
2. source ~/.bashrc 를 통해 수정한 내용을 적용한다.
3. aws --version 을 통해 version을 확인한다.
eksctl create cluster --name mission-cluster --version 1.26 --region ap-northeast-2
--nodegroup-name mission-wn --node-type t3.medium --nodes 1 --nodes-min 1
--nodes-max 1 --ssh-access --ssh-public-key workernode-key --managed
해당 명령어를 통해서 eksctl을 생성한다.
도움을 주신 분
https://comento.kr/edu/learn/ITSW/IT-G489
대기업 IT현직자와 함께 클라우드 AWS 구축부터 운영까지 실무 AtoZ | 코멘토 직무부트캠프
차시 별 과제 소개과제 수행에 필요한 양식과 가이드를 모두 제공할 예정입니다. 가이드를 제공하지만 왜 이렇게 구성했는지를 이해하면 좋겠습니다.과제는[구축]클라우드 환경 구성→ [구
comento.kr
Info
설치가 완료된 뒤에는 반드시 지워주는 것을 명심하자!!
계속해서 요금이 나가는 것을 명심!!
'개발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EC2 인스턴스로부터 AMI 이미지를 생성해보기 (0) | 2024.04.09 |
---|---|
[AWS] Elastic IP 탄력적 IP 할당 (0) | 2024.04.09 |
[AWS] 가장 쉽게 S3를 구축하고 정적 웹 호스팅 만들기 (0) | 2024.04.07 |
[AWS] IAM 계정을 생성해보자! MFA 설정도 ! 초간단! (0) | 2024.03.11 |
[AWS] AWS 계정을 생성해보자 (프리티어) - 1단계 (2) | 2024.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