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에서 IAM 계정을 생성하는 이유
1. IAM은 AWS 리소스에 대한 엑세스를 제어할 수 있는 AWS 서비스 입니다.
2. AWS 리소스 사용 권한 부여와 제어 입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에는 서버를 관리하는 사람, DB를 관리하는 사람,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사람이 따로 있는데, IAM을 통해 개별 사용자, 그룹에게 AWS 서비스에 대한 접근 권한을 세분화하여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는 "최소 권한 원칙"을 따르는 것으로, 사용자가 자신의 작업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권한만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보안을 강화하도록 합니다.
3. 보안상의 이유로 운영 환경에서 AWS root 계정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root 계정에서 생성해 준 각각의 사용자 그룹이나, 사용자 계정을 사용하도록 합니다.
4. 1인 1계정으로 생성하여 장애 발생 시 책임의 소재를 명확히 하도록 합니다. IAM을 사용하면 사용자의 활동을 추적하고 로그를 기록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각 사용자의 리소스 사용량을 추적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조직 내에서 AWS 리소스의 사용과 관련된 비용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계정 생성 과정
1. 콘솔 창에서 IAM을 검색합니다.
2. 사용자 $\rightarrow$ 사용자 생성
3. 사용자 계정 ID를 입력해줍니다. 비록 회사를 다녀보진 않았지만, 회사의 ID 규칙이나 사원번호가 있을 시에는 그런식으로 계정을 만들어줄 것이라고 예상해봅니다.
3-1 자동 생성된 암호를 넣어두고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방식으로 하고, 처음 로그인 시에는 새 암호를 입력하도록 하여 본인의 비밀번호를 생성하도록 할 것 입니다.
4. 저는 모든 기능에 Access 할 것이기 때문에, AdministratorAccess[관리자권한]을
5. 사용자 생성을 눌러주면 됩니다.
이러면 생성이 완료 된 겁니다.! 여기서 그냥 넘어가면 안되고,
콘솔 암호 꼭. 꼭. 복사해 놓으셔야 합니다.
로그인할 때 필요한 정보입니다.!!!
콘솔 로그인 URL도 반드시 메모장에 복사해 놓으세요!!
매우중요!!
사용자 목록에 추가된 것을 확인하면 완전 등록된 거 입니다!!
생성한 ID로 로그인하고 MFA 설정하기
MFA
1. MFA[Multi-Factor Authentication]는 사용자 이름과 암호 + OTP 인증 추가하여 로그인하는 서비스 입니다.
2차 인증 비밀번호라고 생각하면 쉽게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2. 보안상 이유로 운영환경에서 IAM 개별 계정에 MFA를 설정할 것을 권고합니다.
0. 아이폰의 경우는 앱스토어에서 Google Authentication 앱 다운, 안드로이드의 경우는 Playstore에서 Google Authentication 앱을 다운합니다.
1. 오른쪽 상단에 사용자 이름 @ 계정 ID로 이루어진 곳을 클릭하면 위의 사진 처럼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멀티 팩터 인증[MFA] 에서 MFA 디바이스 할당을 눌러 줍니다.
3. 저는 iphone을 사용하기 때문에 디바이스 이름을 iphone13pro 라고 적어두겠습니다..! 기억하기 쉽도록(?) 휴대폰을 변경하더라도
4. QR 코드 표시 버튼을 눌러준 다음 본인 휴대폰에서 어플을 통해 add account를 해줍니다.
휴대폰에 해당 계정이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6자리 숫자가 30초 간격으로 뜰 것입니다. 그러면 MFA 코드 1과 MFA 코드 2에 각각 6자리를 입력해주고 MFA 추가를 눌러주면 성공적으로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IAM 계정과 MFA 생성까지 마무리 하겠습니다!
혹시라도 피드백이나 잘못된 부분은 댓글로 알려주시면 수정해보겠습니다!!
참고자료
https://comento.kr/edu/learn/ITSW/IT-G489
대기업 IT현직자와 함께 클라우드 AWS 구축부터 운영까지 실무 AtoZ | 코멘토 직무부트캠프
차시 별 과제 소개과제 수행에 필요한 양식과 가이드를 모두 제공할 예정입니다. 가이드를 제공하지만 왜 이렇게 구성했는지를 이해하면 좋겠습니다.과제는[구축]클라우드 환경 구성→ [구
comento.kr
'개발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EC2 인스턴스로부터 AMI 이미지를 생성해보기 (0) | 2024.04.09 |
---|---|
[AWS] Elastic IP 탄력적 IP 할당 (0) | 2024.04.09 |
[AWS] 가장 쉽게 S3를 구축하고 정적 웹 호스팅 만들기 (0) | 2024.04.07 |
[AWS] AWS 계정을 생성해보자 (프리티어) - 1단계 (2) | 2024.02.02 |
[AWS] EKS 환경구성 (Bastion에 kubectl을 설치해보자!) (1) | 2024.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