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Elastic IP [ 탄력적 IP ]
1. Elastic IP
- Elastic IP란 동적 클라우드 컴퓨팅을 위해 고안된 정적 IPv4 주소입니다.
- EC2 인스턴스를 중지했다가 다시 시작할 때 public IP 주소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할 때 사용합니다.
- 계정에 할당되며 명시적으로 해제하기 전까지는 그대로 유지됩니다.
2. Elastic IP의 특징
- 동적으로 할당된 public IP와 달리 인스턴스와의 연결을 해제해도 사용자 계정에 보존됩니다.
- 인스턴스 장애 시 신속하게 다른 인스턴스로 재매핑이 가능해 가용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인스턴스 중지 시에도 Elastic IP 주소와 연결된 인스턴스 데이터는 그대로 유지됩니다.
- 추가 비용 없이 VPC당 5개까지 보유 가능합니다.
3. Elastic IP 사용 시 고려사항
- 하나의 Elastic IP는 한 번에 하나의 인스턴스에만 연결 가능합니다.
- Elastic IP를 인스턴스와 연결하지 않은 채 보유만 하고 있으면 작은 시간당 요금이 부과됩니다.
- 인스턴스 장애 대비 신속한 장애 조치를 위해 Elastic IP를 사용할 경우, 평소에 두 번째 인스턴스를 준비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 왜냐하면 장애 상황에서도 애플리케이션의 가용성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또한, 예를 들어 웹 서버 인스턴스에 장애가 발생했다면, 미리 준비해둔 대기 인스턴스에 Elastic IP를 재연결하여 서비스 중단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4. Elastic IP 할당 및 사용 방법
- 할당 받은 Elastic IP를 EC2 인스턴스에 연결하여 사용합니다.
이렇게 Elastic IP가 할당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할당받은 Elastic IP의 이름을 설정해주고, 연결을 진행해줍니다.
이런 화면이 나오면 여기서 인스턴스를 선택해주면 됩니다.
인스턴스는 본인의 EC2에 생성되어있는 인스턴스의 리스트가 쭉 나올 것입니다.
그 중에서 하나 골라서 사용하면 됩니다.
그러면 여기 퍼블릭 IPv4 주소가 할당받은 Elastic IP로 바뀐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저는 여기서 이제 인스턴스를 중단했다가 다시 실행하더라도 퍼블릭 IPv4 주소가 바뀌는 지 안 바뀌는 지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중지 후 다시 실행시켜도 퍼블릭 IPv4 주소는 변하지 않는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이로써, 고정 IP 주소를 제공함으로써 인스턴스 장애나 중지 / 시작 시에도 일관된 엔드포인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하지만 인스턴스 내부 데이터 보존은 별도의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최종적으로 우리는 계속 요금이 나가기 떄문에 릴리즈 해줌으로서 연결 해제와 동시에 삭제합니다!
'개발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Step 2 & 3] 요즘 대세인 aws-resume-challenge 해보자!! (0) | 2024.05.29 |
---|---|
[AWS] EC2 인스턴스로부터 AMI 이미지를 생성해보기 (0) | 2024.04.09 |
[AWS] 가장 쉽게 S3를 구축하고 정적 웹 호스팅 만들기 (0) | 2024.04.07 |
[AWS] IAM 계정을 생성해보자! MFA 설정도 ! 초간단! (0) | 2024.03.11 |
[AWS] AWS 계정을 생성해보자 (프리티어) - 1단계 (2) | 2024.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