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Front란 ?
Static Website를 만들어놨던 파일을 S3 버킷에 넣어두고, 이제 만들어놓은 index.html을 CloudFront로 연결시켜보려고 합니다.
CloudFront : AWS에서 제공하는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CDN] 서비스 입니다.
주요 기능
1. 분산 네트워크: CloudFront는 전 세계에 분산된 여러 엣지 로케이션을 통해 콘텐츠를 캐시하고 전달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와 가장 가까운 엣지 로케이션에서 콘텐츠를 제공하여 지연 시간을 줄이고 전송 속도를 높입니다.
2. 보안: CloudFront는 데이터 전송 시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SSL/TLS 암호화를 지원하며, AWS WAF(Web Application Firewall)와 통합하여 웹 애플리케이션을 다양한 공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습니다. 또한, CloudFront에서는 원본 서버의 IP를 숨겨 보안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3. 확장성: CloudFront는 자동으로 트래픽 변동에 대응할 수 있는 확장성을 제공합니다. 대규모 트래픽 증가에도 안정적으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4. 통합 관리: CloudFront는 AWS의 다른 서비스(S3, EC2, Elastic Load Balancing 등)와 쉽게 통합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복잡한 설정 없이 간편하게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5. 로그 및 분석: CloudFront는 실시간 로그와 분석 기능을 제공하여 트래픽 패턴, 사용자 동향, 콘텐츠 접근 등을 모니터링하고 분석할 수 있습니다.
장점
- 빠른 전송 속도: 전 세계에 분산된 엣지 로케이션을 통해 콘텐츠를 캐싱하고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빠른 응답 시간을 제공합니다.
- 비용 효율성: 사용한 만큼만 비용을 지불하는 유연한 요금제를 제공하여 비용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습니다.
- 높은 가용성: AWS의 글로벌 인프라를 기반으로 높은 가용성과 내구성을 보장합니다.
- 간편한 사용: AWS 관리 콘솔을 통해 쉽게 설정하고 관리할 수 있으며, 다른 AWS 서비스와의 통합도 용이합니다.
https://aws.amazon.com/ko/cloudfront/
CDN 서비스 | CloudFront | Amazon Web Services
aws.amazon.com
CloudFront 연결하기
1. CloudFront를 AWS 콘솔에 검색한 후, CloudFront 배포를 클릭해줍니다.
2. S3 리스트가 쭉 나올 것입니다. 본인이 연결하고자 하는 버킷을 클릭해줍니다.
3. Create new OAC에서 설정해 준 뒤에 Create를 합니다. 여기서 뷰어에서 HTTPS only를 클릭해줍니다. [즉, 우리는 HTTPS를 사용하겠다]
4. 이제 그럼 설정이 완료될 것입니다. 그럼 정책 복사를 클릭해줍니다.
5. 버킷 정책 -> 편집을 눌러줍니다.
6. 아까 정책 복사해놨던 거를 여기다가 복붙해줍니다.
7. 대망의 마지막 설정 편집에서 제가 잊었던 부분이 있더라고요.. 계속 들어가면 Access Denied라는 문구가 뜨길래 뭐가 문제지 했는데, 알고보니까 기본값 루트 객체에 index.html 이라고 안써줬더라고요.. 이게 결국 연결이 되어야.. 웹페이지를 띄울 수 있는데.. !!
8. 이렇게 다 설정이 완료되면, domain 주소를 클릭하면 웹 페이지가 성공적으로 연결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개발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API Gateway와 Lambda 그리고 Face Rekognition을 활용한 얼굴 비교 웹 사이트 구축 (2) | 2024.07.01 |
---|---|
[AWS] 티스토리 API 없이 크롤링하여 Lambda를 활용한 실시간 최신 블로그 포스트 보여주기 (0) | 2024.06.25 |
[AWS] [Step 2 & 3] 요즘 대세인 aws-resume-challenge 해보자!! (0) | 2024.05.29 |
[AWS] EC2 인스턴스로부터 AMI 이미지를 생성해보기 (0) | 2024.04.09 |
[AWS] Elastic IP 탄력적 IP 할당 (0) | 2024.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