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S3 버킷 생성
여기서 가장 중요한 것은 버킷 이름입니다. 버킷 이름의 경우에는 중복이 되면 안되기 때문에 뒤에 제 이름을 넣어서 만들어줬습니다.
a. S3에 파일들을 업로드 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html 파일을 전체 폴더를 만들어서 하위에다가 넣은 다음에 큰 폴더를 넣는 것이 아니라 바로 html파일을 업로드 해주고, 그 외의 파일들도 이렇게 업로드 시켜주는 것입니다. 그래야 추후에 오류가 안생긴다고 합니다.
b. index.html 파일을 클릭해봅니다. 그러면 객체 url이 나와있는데, 우리는 앞서 퍼블릭 접근 제한을 설정해 놨기 때문에 객체 url을 클릭하면 c의 화면이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c. AccessDenied가 뜨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버킷에 바로 접근은 불가능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Cloudfront를 이용해서 퍼블릭 접근이 불가능한 s3 버킷에 엑세스 할 수 있게 할 것입니다.
이제 AWS의 Cloudfront를 통해 S3 버킷에 저장된 파일들을 빠르고 안전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다음 Step에서 진행해보겠습니다~!
'개발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티스토리 API 없이 크롤링하여 Lambda를 활용한 실시간 최신 블로그 포스트 보여주기 (0) | 2024.06.25 |
---|---|
[AWS] [Step 5 - CloudFront] (1) | 2024.06.03 |
[AWS] EC2 인스턴스로부터 AMI 이미지를 생성해보기 (0) | 2024.04.09 |
[AWS] Elastic IP 탄력적 IP 할당 (0) | 2024.04.09 |
[AWS] 가장 쉽게 S3를 구축하고 정적 웹 호스팅 만들기 (0) | 2024.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