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 EC2 를 클릭하면 이 화면이 나올 것입니다.
여기서 만약 인스턴스를 아무것도 만들지 않은 상태이면 인스턴스 시작버튼을 클릭해줍니다.
인스턴스 시작하기 버튼을 클릭해놓은 뒤,
내가 컴퓨터를 어떻게 구성하고 싶은지에 대한 선택할 수 있는 내용들이 아래에 나옵니다.
저는 Ubuntu OS를 설치하고 싶었습니다.
그래서 Ubuntu OS를 선택하였습니다.
저는 보안 그룹 생성 버튼을 통해서 보안 그룹 이름을 설정해주고, 설명도 간단히 적어줍니다.
ubuntu의 경우에는 SSH로 접속하기 때문에 유형은
SSH로 설정해주고 나머지는 건들지 않았습니다.
[추후에 보안그룹 관련해서는 따로 포스팅 예정]
대망의 가장 중요한 키페어 생성 버튼입니다! 만약 다른 인스턴스를 생성하다가
본인의 키페어가 있다면 그 키페어를 사용하셔도 되고,
그렇지 않다면 새로운 키페어를 생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쉽게 말해서 키페어라는 것은 집에 들어가는 열쇠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컴퓨터에 접속하기 위한 나만의 열쇠이기 때문에 매우 중요합니다.
이것 또한 유출되지 않도록 잘 보관해야 합니다.
AWS EC2[Linux] 인스턴스에 연결하기
저는 현재 맥북을 사용하고 있고, 맥북 사용자의 관점으로
어떻게 내가 만든 EC2에 접속할 수 있을까에 대한 해답을 제시해보겠습니다.
위의 키 페어를 생성하면 본인 컴퓨터 다운로드에 aws-study.pem이라는 파일이 하나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저는 credentials라는 폴더를 만들어서 거기에 pem키를 넣어서 보관하였습니다.
ssh private key 최소권한 설정 : chmod 400 {private key.pem}
ssh에 접속하기 위해 인스턴스를 생성했을 때 만들었던 pem키에 대한 읽기 권한을 설정해줘야 합니다.
$ chmod 400 aws-study.pem
ssh 접속 방법 : ssh -i {개인키 경로} serverHost@{public IPv4 address}
ssh -i ~/credentials/aws-study.pem ubuntu@{IPv4_address}
여기서 IPv4_address의 경우에는 실제 인스턴스 생성시
밑에 나오는 ip 주소를 복붙해서 가져다 사용하면 됩니다~!
해당 블로그를 참조하여, 맥북에서 AWS EC2 인스턴스에 연결하는 방법을 참고하였습니다.
https://seosh817.tistory.com/309
[AWS] AWS EC2 인스턴스(Linux Ubuntu) 생성 및 SSH로 접속하기
이번 포스트에서는 EC2 인스턴스(Linux ubuntu)를 생성하고 인스턴스에 접속하는 방법을 정리하겠습니다. Amazon EC2(Amazon Elastic Compute Cloud)란? Amazon Elastic Compute Cloud(Amazon EC2)는 Amazon Web Services(AWS) 클라
seosh817.tistory.com